위고비 vs 마운자로 (SURMOUNT‑5, NEJM 2025) — 비교
위고비 vs 마운자로 — 비만 치료 효과 비교 (SURMOUNT‑5)
NEJM 2025;393:26‑36 · 공개라벨, 72주, 성인 비만(제2형 당뇨 없음) · n=751 · 최대 내약용량
세마글루티드 1.7–2.4 mg (위고비) 티르제파타이드 10–15 mg (마운자로/제프바운드)
체중 변화 (72주, LS 평균)
위고비
-13.7%
마운자로
-20.2%
Δ -6.5%p
95% CI: 위고비 −14.9 ~ −12.6 / 마운자로 −21.4 ~ −19.1
허리둘레 변화 (72주, LS 평균)
위고비
-13.0 cm
마운자로
-18.4 cm
Δ -5.4 cm
95% CI: 위고비 −14.3 ~ −11.7 / 마운자로 −19.6 ~ −17.2
핵심 해석
- 마운자로가 72주 시점 체중 감소 −20.2%로 위고비(−13.7%) 대비 더 컸습니다.
- 허리둘레 감소도 마운자로(−18.4 cm)가 위고비(−13.0 cm)보다 더 컸습니다.
- ≥10%, ≥15%, ≥20%, ≥25% 체중감량 달성률은 마운자로가 더 높음 (정량 수치 미제공).
- 두 군 모두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위장관계였고, 대부분 경도~중등도, 증량기에 주로 발생.
설계: 3b상 공개라벨, 최대 내약용량까지 용량상승, 성인 비만(제2형 당뇨 제외). 자금: Eli Lilly. 임상등록: NCT05822830.
비교 표
지표 | 위고비 (세마글루티드 1.7–2.4 mg) | 마운자로/제프바운드 (티르제파타이드 10–15 mg) | 차이 (마운자로 − 위고비) |
---|---|---|---|
체중 변화율 (%) — 72주, LS 평균 | −13.7% (95% CI −14.9, −12.6) | −20.2% (95% CI −21.4, −19.1) | −6.5%p |
허리둘레 변화 (cm) — 72주, LS 평균 | −13.0 cm (95% CI −14.3, −11.7) | −18.4 cm (95% CI −19.6, −17.2) | −5.4 cm |
≥10% 체중감량 달성률 | 수치 미제공 | 수치 미제공 | 마운자로가 더 높음 |
≥15% 체중감량 달성률 | 수치 미제공 | 수치 미제공 | 마운자로가 더 높음 |
≥20% 체중감량 달성률 | 수치 미제공 | 수치 미제공 | 마운자로가 더 높음 |
≥25% 체중감량 달성률 | 수치 미제공 | 수치 미제공 | 마운자로가 더 높음 |
안전성 요약 | 두 군 모두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가장 흔함. 대부분 경도~중등도, 증량기에 주로 발생. | ||
연구 설계 | 3b상 공개라벨, 1:1 무작위배정, 최대 내약용량(세마글루티드 1.7/2.4 mg, 티르제파타이드 10/15 mg), 72주, n=751, 성인 비만(제2형 당뇨 제외) |
출처: N Engl J Med 2025;393:26‑36, SURMOUNT‑5 (요약치 기반).
그래프 — 체중 변화율 (72주)
그래프 — 허리둘레 변화 (72주)
연구 한계 및 이해관계 공지
- 스폰서: 본 연구는 Eli Lilly의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, 일부 공저자가 Eli Lilly 소속입니다. → 잠재적 이해관계 고려 필요.
- 공개라벨(open-label): 연구자와 참가자 모두 투여 약제를 알 수 있었기에 행동·순응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1차 평가변수: 체중 변화율(객관적 지표)이므로 주관적 판단 개입은 제한적입니다.
- 일반화 한계: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제외한 집단 대상이므로 모든 비만 환자군에 결과를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.
- 안전성: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가장 흔했으나, 장기 안전성(>72주)에 대한 데이터는 더 필요합니다.
출처: N Engl J Med 2025;393:26‑36. 해석 시 스폰서 참여, 공개라벨 설계, 모집단 제한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'미국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애플] 맥북 프로 M4 Pro 를 업무용 컴퓨터 구매 후기 - 사세요. (4) | 2025.08.09 |
---|---|
OpenAI 2025 DevDay 발표 요약 및 AI 기술 발전의 주식시장 영향 (1) | 2025.01.17 |
2025 CES 천상계 그래픽카드 RTX 5070 vs RTX 4090: 성능과 비디오 메모리 비교 (1) | 2025.01.08 |
2025년 쿼드데믹과 미국 주식시장: 전염병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(4) | 2025.01.04 |
ACE USD 배당으로 알아보는 S&P 500, 나스닥, 반도체 ETF 투자 전략 (3) | 2025.01.03 |
댓글